가구당 평균 부채(빚), 소득 얼마나 늘었나
20대의 영끌 투자로 29세 이하 가구주의 빚이 1년 전보다 40% 넘게 급증했다.
50대와 60세 이상 등 장년과 노인층에서도 6% 이상 부채가 늘었다.
이로 인해 올해 가구당 평균 빚은 9170만 원으로 사상 처음 9000만 원을 돌파했다.
가구당 빚

통계청·한국은행·금융감독원은 ‘2022년 가계금융복지조사’를 발표했다.
부채 증가율이 가장 높은 29세 이하 가구주는 평균 5014만 원의 빚을 진 것으로 나타났다.
50대(6.8%), 60세 이상(6.0%) 등 장년층과 노인층의 부채 증가율도 컸다.
부채 보유 액수로 보면 40대가 1억2328만 원으로 가장 많았다.

가구당 자산
가구당 자산은 올 3월 말 기준으로 1년 전보다 9.0% 증가한 5억4772만 원으로 집계됐다.
지난해 자산 증가율(12.8%)보다는 낮지만 여전히 역대 2번째일 정도로 높은 것이다.
자산 증가율(9.0%)이 부채 증가율(4.2%)을 크게 웃돌면서 재무건전성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.
다만 이들 수치는 올 3월 말을 기준으로 1년 전과 비교한 것이어서 현 상황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.
하지만 최근 금리 상승 및 부동산 가격 하락세 지속 등으로 현재 체감하는 경기 상황과 이번 조사 결과가 상이할 가능성이 있다.

가구 평균 소득은 6414만 원으로 1년 전보다 4.7% 증가했다.
특히 근로소득이 1년 전보다 7.0% 늘어 2017년 현재 방식대로 통계를 작성한 이래 가장 큰 폭의 증가율을 보였다.
가구주가 40, 50대인 가구는 소득 1억 원 이상이 각각 24.9%와 27.7%로 가장 컸다.
40, 50대 가구주 4명 중 1명은 억대 소득을 올리는 셈이다.
지난해 가구의 평균 비소비지출은 1185만 원으로 5.6% 증가했다.
세금 400만 원, 공적연금과 사회보험료로 400만 원, 이자비용 209만 원 등이 지출됐다.
이 중 세금이 전년 대비 8.8% 증가해 증가 폭이 가장 컸다.